티스토리 뷰

반응형

  세상이 바뀌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주식 투자라고 하면 코스피, 코스닥 같은 정규 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의 주식을 사고파는 것만을 의미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릅니다. 이제 사람들은 상장되지 않은 주식, 그러니까 비상장 주식에 더 많은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왜냐고요? 상장 이전의 기업은 마치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씨앗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씨앗을 미리 심은 사람들은, 기업이 상장하는 순간 꽃을 피우며 놀라운 수익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비상장 주식은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사는 걸까요? 복잡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지금부터 아주 자세히, 그러나 어렵지 않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비상장 주식이란 무엇인가요?

 비상장 주식이란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 코넥스(KONEX) 등 증권거래소에 공식적으로 상장되지 않은 회사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흔히 '장외주식'이라고도 부르지요.

 

비상장 기업은 아직 IPO(기업공개)를 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정규 주식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주식을 거래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제는 여러 플랫폼의 등장으로 비상장 주식 거래도 매우 투명하고 합리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상장 주식, 왜 주목받고 있을까요?

  • 상장 전 투자 기회: 상장 직전에 비상장 주식을 매수하면, 상장 이후 큰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실제로 야놀자, 크래프톤,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의 경우 상장 기대감만으로도 장외 주식 가격이 수직 상승한 적이 있습니다.
  •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투자금: 인기 공모주처럼 수량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 매수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 성장 초기 기업 투자 기회: 혁신적인 스타트업이나 유망 벤처기업에 일찍 투자할 수 있는 기회는 비상장 시장에서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수익 가능성만큼이나 위험요소도 큽니다. 정보 비대칭, 유동성 부족, 사기 위험 등이 존재하므로 반드시 믿을 수 있는 플랫폼에서 거래해야 합니다.

비상장 주식 사는 법 3가지

비상장 주식을 안전하게 사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아래 3가지입니다.

  1. 증권플러스 비상장(어플 다운로드 바로가기)
  2. 서울거래소 비상장
  3. K-OTC (한국장외주식시장)

이 중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이용자 수가 많은 플랫폼은 ‘증권플러스 비상장’입니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비상장 주식 사는 방법

  1. 앱 다운로드: '증권플러스 비상장' 앱을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합니다.
  2. 로그인 및 계좌 연동: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삼성증권이나 KB증권 계좌를 연동합니다. 이 계좌가 실제 거래와 자금 이체에 사용됩니다.
  3. 종목 검색: 메인 화면에서 원하는 기업명을 검색합니다. 예: 야놀자, 토스, 당근마켓, 두나무 등.
  4. 팝니다/삽니다 확인: 원하는 가격과 수량의 매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5. 거래 방식 선택: '바로주문'(즉시 체결) 혹은 '1:1 협의'(판매자와 채팅 후 협의)를 선택하여 거래를 진행합니다.
  6. 거래 완료 후 입고 확인: 거래가 완료되면 매수한 주식은 삼성증권 계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비상장 거래 방법 도움말 보러가기(증권플러스 비상장 홈페이지)

서울거래 비상장과 K-OTC는 어떻게 다를까요?

  • 서울거래 비상장: 증권플러스와 유사하지만 거래량은 다소 적습니다. UI는 직관적이고 깔끔하며, 매물에 따라 유리한 조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
  • K-OTC: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공공 플랫폼으로 법적으로 가장 안전한 시장입니다. 다만 거래 가능한 종목이 100여 개로 제한적입니다.

거래 수수료 및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 증권플러스 비상장 수수료: 플랫폼 이용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다만 증권사 수수료(약 1%)가 있으며,
  • 증권거래세: 매도 시 0.35%~0.43% 수준의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
  • 양도소득세: 비상장 주식은 소득에 관계없이 수익이 발생하면 10%~20%의 양도세를 자진 신고해야 합니다. (홈택스 이용) 

예를 들어, 야놀자 비상장 주식을 1,000만 원어치 매수 후 1,300만 원에 매도했다면, 300만 원의 차익 중 10%에 해당하는 30만 원을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인기 장외주식 종목

  • 두나무(업비트)
  • 케이뱅크
  • 빗썸
  • 무신사
  • 당근마켓
  • 야놀자
  • 아크로스
  • 마켓컬리
  • 카카오모빌리티
  • 뱅크샐러드

비상장 주식 거래 시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 기업 정보 부족: 비상장 기업은 정기 공시 의무가 없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 상장 실패 리스크: Pre-IPO라는 이름에 현혹되지 마세요. 모든 비상장 기업이 상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유동성 부족: 사고 싶을 때 못 사고, 팔고 싶을 때 안 팔릴 수 있습니다. 급한 돈이 필요한 경우 비상장 주식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전문투자자 제도: 일부 유니콘 기업은 일반 개인이 아니라 전문투자자 자격을 갖춘 사람만 매수 가능합니다. (일정 잔고 요건 + 소득 요건 필요)

정리하며: 비상장 주식은 신중하게, 그러나 분명한 기회입니다

 비상장 주식은 고수익을 노릴 수 있는 동시에, 철저한 분석과 정보 수집이 전제되어야 하는 시장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 선택, 세금 및 수수료 구조 이해, 그리고 기업 가치 분석이 성공적인 투자의 열쇠입니다.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위에서 소개한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비상장 주식 투자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단, *‘묻지마 투자’*는 금물입니다. 장외 시장은 더욱 냉정하고 정보력 싸움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투자 여정에 작지만 단단한 길잡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